본문 바로가기

사목/나다(IAM)

청소년과의 성경 나눔(필기)

강사 김선미 수녀님

 

  1. 성경이란 어떤 책인가
  2. 성경을 왜 읽어야 하는가
  3. 동성고 학생들과 함께 한 성경공부 소개

 

 

 

성경이란 어떤 책인가

만화책, 신문, 논문, 일기  와는 다르다.

 

성경은 믿음의 책

하느님, 예수님이 어떤 분이신지.

베드로가 예수님을 모른다고 하다

계시

  • 유한한 인간이 하느님 계시.

 

  1. 구약성경을 통해서 보여줌
  2. 신약성경을 통해서, 예수님을 통해서 당신을 완전히 열어서 보여주심

다바르 = 사건 - 말씀 

 

 

 

성경을 왜 읽어야 하는가?

  1. 하느님이, 예수님이 어떤 분이시지를 알게 된다.
  2. 내가 누구인지를 알게 된다.

 

루이 왈레스(1827-1905)

남북전쟁 장군

소설가, 정치가

무신론자

  • 주변 사람들이 그리스도의 허구성을 증명해 보자에 동참
  • 당신은 나의 왕, 나의 하느님, 도저히 당신을 도저히 부정할 수 없습니다.
  • 벤허(1959)  저자
  • 성경 읽고 변화됨
  • 히브 4,12-13  하느님 말씀은 살아있고 힘이 있으며 어떤 쌍날칼보다도 날카롭다.

조배하고 기도하면서 변화됨. 나쁜 성향, 죄스런 성향.  하느님 앞에서 감출 수 없다.

말씀의 힘

마음의 생각과 속셈을 가려냅니다.

 

어버이, 청년 성서모임

  • 어르신)행복하다, 위로를 받는다. 주님의 손길을 느낀다. 지식 30%, 영적 가르침 70%
  • 학생들) 알게 되어서 기쁘다. 신앙생활 알게 되어 기뻐요. 지식 70% 영적 30%
  • 말씀은 어려서부터 들어가야 깊게 스며든다. 인생관과 가치관이 된다.
  • 어른들은 이분법적. 삶에 적용시키기에는 두려워 한다. 말씀과 삶 따로

 

3)인생을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진다

고등학생들 학업, 대인 관계 시달림.

좌절의 시대

인성수업

희망과 위로를 주는 

 

영화: 인생은 아름다워

나치즘 속 유대인을 다룸

5.18광주민주화

미얀마 사건

아픈 역사를 유쾌하게 그림

 

수용소로 가는 기차 안에서부터 기대를 심어줌.

막사 안 게임이라고 함.

  • 낙천주의자

독일 장교를 통역 : 아버지는 게임처럼 말함.

세상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달라짐.

자신만의 세상.

 

모든 것은 태도에 달려있다.

긍정적 태도

희망 

존중

 

홀로코스트 : 번제물. 히브리어에서 드리다. 바치다. 올라가다에서 유래

믿음 안에서 해석하려고 함.

 

사건보다 사건에 대한 해석

 

빅터 플랭크 : “인간이 살아가는데 문제가 되는 것은 고통이 아니라 그 고통을 받아들이는 방법”

 

의미를 찾아야/발견해야 한다.

 

  1. 동성고 학생들과 함께 한 성경공부 소개

창세기, 1박2일 연수

탈출기, 파스카 예식

복음서(1년 과정). 여름 1박2일 연수

고2, 창세기(1년)

 

교재: 클릭바이블 중고등부 시리즈

선택한 이유 : 짜여진 구조 

아브. 숲으로 나무로 삶으로 홈과제

아브 베움1 배움2 묵상과 생활 마침기도

 

자발적참여와 협동 모임

  1. 학생들이 성경공부를 하고픈 사람들을 모음.
  2. 학생들이 돌아가면서 모임을 진행함.

리더 체험을 해보게 함

자신들이 주체. 더 흥미. 상호 교류

 

안내자의 역할: 나침반과 같은 역할

장교 훈련. 독도법(지도 보는 법). 

방향 잡을 때 유용.

경험을 통해 완성.

목표에로 이끌어 감.

안내자가 정리하고 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말씀의 의미와 영적 가르침을 주며 말씀 속으로 들어가는 역할을 한다.

안내자 지침서를 마련해 주면 좋겠다.

 

시작 기도: 성경을 읽기 전에 드리는 기도

‘성령의 빛으로’

 

유다인들의 성경 읽기 방법

소리를 내어서 읽음

손으로 짚어가면서 읽음

상체를 흔들면서

온몸, 감각으로. 

시각, 청각. 촉각.

 

한 절씩 읽자.

 

아이스 브레이크

간식을 줌

전체시간 1시간 정도

 

성경과 삶을 분리함

메시지 연결

본문 파악

 

나눔은 왜 필요한가?

하느님 말씀은 살아있기 때문이다.

나눔의 내용: 자신의 삶에 역사하신 어떤 이야기

 - 하느님의 지적(욕망, 습관)

 - 하느님의 격려(현재, 위로, 힘, 지지)

 - 하느님의 인도(방향)

 

마침기도